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printf("%d %d %d %d\n", sizeof(int), sizeof(char), sizeof(float), sizeof(double));
// sizeof(x) : x의 크기를 알려줌
// x : 형에대한 이름(intx, float, ...)
// 변수의 이름
int a; char b; float c; double d;
printf("%d %d %d %d\n", sizeof(a), sizeof(b), sizeof(c), sizeof(d));
// int는 4byte이므로 4 결과 출력
// char는 1바이트이므로 1 결과 출력
/ char : 1byte 정수형 변수
// float 는 4바이트이므로 4 결과 출력
// double 는 8바이트이므로 8 결과 출력
}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a = 3.14;
// 오류를위해 int a 에 실수를 저장해보고
// 정수형변수에 실수를 담으면 3으로 3.14가짤리게된다. ( 소수점뒷부분이 짤림)
// 실수를 정수형 변수에 담을 수 없다.
douvle b = 10;
// 오류를 위해 double에 정수를 넣어본다.
// 실수형 변수에 정수를 넣으면 실수형태의 10.0000으로 저장이 된다.
// 정수를 실수형 변수에 담을 수 있다.
printf("%d %f\n", a, b);
}
// %d: 정수만 출력 (1,2,3,4,5,6, 7,8,9, 0 -1 -2, -3 )
// %f : 실수 출력 (3.14, -2.0, ..)
// %.2f : 소수점 둘째자리 까지만 출력하게만든다 반올림해서 출력됨
// %g : 실수 출력 (지수 형태로도 출력)3.14159까지만 출력 즉 유효숫자를 따짐
// %.3g : 실수 출력 (지수 형태로도 출력)유효숫자 까지만 출력 즉 8.72e+09로 출력이된다.
// %c : 문자 출력 (알파벳, 숫자, 몇몇 기호 , \n)
// %s : 문자열 출력 - (문자들이 열거되있는거 정의 비슷하다생각하기 ) 한글 등 모두 출력가능 O
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#
// 형변환 :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작업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 {
int math = 90, korean = 95, english = 96;
int sum = math + korean + english;
// int sum을 실수를 저장할 필요는 없다. 왠만하면 정수로 하기떄문.
int avg = sum / 3;
// double avg = (double) sum / 3;
// sum을 실수형 변수로 하게되면 실수 나누기 정수 이므로 실수인 정확한 93.0000이 나올 수 있다.
printf("%f\n",avg);
// 93.66667이나와야되고 정상이지만
// 93.000000 이 출력이되버린데 이렇게 나오는 이유는
// sum은 정수고 3은 정수이다.
// 프로그래밍에서는 int a = 5/ 3;
// 1이 나오게되버린다.
// 정수 / 정수 = 정수
// 실수 / 정수 = 실수
// 실수 / 실수 = 실수
// 실수에 더많은것을 저장할 수 있다(다양한 값을 저장할 수 있다)
// 정수 + 정수 = 정수
// 정수 + 실수 = 실수
// 실수 + 실수 = 실수
}
'C 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 언어 - ex07_char형과 ascii코드 (0) | 2022.05.15 |
---|---|
C 언어 EX06 - scanf_입력받는 계산기 (0) | 2022.05.14 |
C 언어 EX04 - 변수의 연산과 자료형 (0) | 2022.05.14 |
C 언어 EX03 - 변수 (0) | 2022.05.14 |
C 언어 EX02 - C 문법 (0) | 2022.05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