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= 등호가 아님, 대입연산자 <=
# + - * /
# // : 몫 , % : 나머지값 , **: 제곱
a = 5 ; b = 3 ; c = 2
# 세미콜론은 엔터 치는 효과, 한줄에 여러 명령어 쓸떄사용
print(a+b,a-b,a*b,a/b,a//b,a%b,a**b)
s1, s2, s3 = 100, 100.12, 9999
print(int(s1), float(s2),int(s3+1))
# 문자 형태로 저장해놓은 값을 정수, 실수 형식으로 바꿔서 출력할수 있음
#출력할떄 연산후 출력하면 변수에 저장된 값을 안바꿔도됨
a=100
b=123.45
print(int(a)+1, str(b)+"1")
# += : a+=3 => a=a+3 나 자신에게 3을 더함
#-=
#-= , /=, *=
#//, % , **
a= 10
a += 5 ; print(a)
a -= 5 ; print(a)
a *= 5 ; print(a)
a /= 5 ; print(a)
# quiz
# 통장에 있는 돈을 전부 동전으로 바꾸기
#1. 통장에 있는 액수를 입력하세요
#2. 돈 ,오백원, 백원 , 오십원 , 십원 = 0,0,0,0,0
# 돈= int(input("김태명 돈내놔 동전으로 바꿔줄게:"))
# 결과 = 오백원 %d개, 백원%d개,오십원%d개 ,십원 %d개
a= int(input("김태명 돈내놔 동전으로바꿔줄게:"))
print("%d,%d,%d,%d"%((a/500),((a%500)/100),(((a%500)%100)/50),((((a%500)%100)%50)/10)))
오백원 = a/500
백원 = (a%500)/100
오십원=((a%500)%100)/50
십원=(((a%500)%100)%50)/10
a= int(input("돈입력하셈:"))
print("%d,%d,%d,%d"%(오백원,백원,오십원,십원))
'''
# == (두값이 같다), != (두값이 같지않다)
# <> <= >=
# 관계연산자의 결과는 bool로 표현된다 (true,false)
a= 100
b= 200
print(a==b,a!=b,a<b,a>b,a<=b,a>=b)
#and(둘다 만족), or(둘중하나만족), not(무조건 반대)
a= 99
print((a>100)and (a<200))
print((a>100)or (a<200))
# &: 비트곱 |:비트합
#^ 베타적 논리합(xor) ~:비트부정 (반대값)
# << 왼쪽으로쉬프트 >>오른쪽으로 쉬프트
'''
print(12&4)